본문 바로가기
쏘냥의 클래식 칼럼/브런치 클래식 매거진

브런치 칼럼 #16. 영화 "황산벌", 보케리니의 현악5중주 중 "미뉴에트"

by zoiworld 2017. 3. 30.
728x90

 

 

브런치 주소는 https://brunch.co.kr/@zoiworld/21

입니다~~

오늘도 저번

14, 15

번 칼럼에 이어 클래식 음악이 들어있을거라 상상도 할 수 없었던 영화와 클래식 명곡에 대해 다뤄보려 하는데요

.

그 주인공은 바로

2003

년 개봉한 한국 사극 코미디 영화

황산벌

입니다

.

한국 코미디 영화 속에서도 쉽게 상상하기 힘든 클래식 음악이

사극

영화에 들어있다는건 정말 의외일 것입니다

.

 

 

황산벌은 지금의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을 칭하던 지명이었으며

, 660

년 백제와 신라 사이에 일어난 전투가 있었던 장소이며 이 전투를

황산벌 전투

라 칭하였습니다

.

당시 백제의 왕이었던

의자왕

(596~678)

에게서

5

천여명의 군사만을 배치받은 비운의 명장

계백

(607~660)

장군은

5

만의 신라와 중국의 연합군의 공격을

4

번이나 막아내었으나 마지막

5

번째 공격에는 버티지 못하고 전멸되었고

,

이 전투에서 패한 백제는 당시 중국 당나라와 연합을 맺은

70

만이 넘는 신라군의 공격을 더이상 견디지 못하고 멸망하게 되는데요

.

 

영화

황산벌

왕의 남자

,

사도

,

동주

등으로 유명한

이준익

(1959~)

감독이 이 역사적 사건을 바탕으로 신라의

김유신

(595~673)

과 백제의 계백 장군의 군사들이 황산벌에서 대결하며 일어나는 일들을 다룬 영화입니다

.

 

 

물론 이 영화

황산벌

은 계백 장군의 입장에서 비극을 다루고 있는 영화이긴 합니다

.

하지만 기마전

,

욕 배틀 등등 기상천외한 대결 방법들을 보여주며 관객들의 배꼽을 잡게하는 웃음 요소들을 넣어주며 자칫 무겁게 흘러갈 수 있었던 영화를

코미디

의 구성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하고 있습니다

.

 

계백 장군 역의

박중훈

(1966~),

김유신 역의

정진영

(1964~),

의자왕 역의

오지명

(1939~)

외에도

이문식

(1967~),

류승수

(1971~),

김승우

(1969~),

신현준

(1968~),

전원주

(1939~),

김선아

(1973~),

우현

(1964~)",

안내상

(1964~)

등 크고 작은 역할조차 화려하게 캐스팅한 이준익 감독의 신의 한수 덕분에

2003

년 역대급 큰 흥행을 불러일으키며 한국 코미디 영화 역사에 한 획을 그은 작품이란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2011

년 신라와 고구려의 전투를 그린

평양성

이 후속작으로 제작

,

개봉되었습니다

.

 

 

이 영화는 무엇보다

사투리

가 큰 역할을 하였는데요

.

삼국 시대에 분명 백제어

,

고구려어

,

신라어가 따로 있었다는 고증이 있고 그 지방의 전라도

,

경상도

,

강원도 사투리와 비슷했을 것이라 추측은 하고 있지만 이는 이준익 감독이 극의 재미와 당시 상황의 이해를 돕기 위해 극화한 것이지 완벽히 재현해 낸 것은 아니며

,

그 역할의 지위가 귀족이나 왕이든 졸개이든간에 상관없이 백제는 전라도 사투리를

,

신라는 경상도 사투리를 쓰고 있습니다

.

 

 

영화 속에서 사투리로 욕 배틀을 하는 장면도 인상적이지만

,

무엇보다 계백 장군이

거시기 할 때까지 갑옷을 머시기해불자

~

라는 말을 몰래 엿들은 신라의 스파이가

김법민

(

안내상

)

장군 앞에서 보고를 하고

암호해독관

(

정해균

, 1968~)

이 이

거시기

머시기

의 뜻을 알아내기 위해 한자까지 조합해서 해독하는 노력을 하는 장면이 가장 포복절도할 장면이라 꼽을 수 있을 것입니다

.

 

바로 이 우스꽝스러운 장면에서 나오는 배경 음악이 바로 보케리니의 현악

5

중주 마장조 작품번호

11 (G 275)

5

번 중

3

악장

보케리니의 미뉴에트

입니다

.

 

 

루이지 로돌포 보케리니

(Luigi Rodolfo Boccherini, 1743~1805)

는 이탈리아의 첼리스트이자 고전 음악 작곡가였습니다

.

그는 하이든의 음악을 숭배하고 따르던 작곡가로 실내악 작품을 많이 작곡했는데요

.

기존의 실내악 음악의 구성이 아닌 조금 다른 악기 구성의 음악들을 많이 작곡한 작곡가입니다

.

 

그는 기존 현악사중주의

2

대의 바이올린과 비올라

,

첼로 작품을

100

여곡이 넘게 작곡했을 뿐만 아니라 현악사중주에 첼로를 한대 더 넣어

2

대의 바이올린과 비올라

, 2

대의 첼로의 현악

5

중주의 작품을 처음으로 작곡한 작곡가이며

,

이 현악

5

중주를 위한 곡도

137

곡이나 작곡했습니다

.

 

보케리니의 방대한 작품은

1969

년 프랑스의 음악학자인

이브 제라르

(Ives Gerard, 1932~)

가 정리를 해 카탈로그로 분류

,

발표되었으며 지금은

Opus

의 작품 번호 외에도 이브 제라르의 성을 딴

G

라는 작품 번호 기호를 붙여 함께 표기하게 되었습니다

.

 

오늘

황산벌

영화에 나온 보케리니 현악

5

중주 작품은 작품번호

11

, G 275

번의 작품 모음 중

5

번째 작품의

3

악장입니다

.

보케리니 현악

5

중주

5

(L. R. Boccherini Stringquintet in E Major, Op. 11, G. 275, No.5)

1

악장

Andantino mosso, 2

악장

Allegro con spirit, 3

악장

Minuetto, 4

악장

Rondo, Allegretto

이렇게

4

개의 악장으로 이뤄져 있으며

,

그 중

3

악장 미뉴에트

(Minuetto)

는 가장 유명한 곡이며

보케리니의 미뉴에트

란 이름으로 다양한 편성으로 독립적으로 연주되는 작품입니다

.

 

미뉴에트는 원래 프랑스의 시골에서 추던

3

박자의 민속 춤곡입니다

. 17

세기 즈음엔

미뉴에트

춤과 음악의 유행이 확산되며 프랑스 궁중에서도 우아한 춤곡으로 많이 사랑받게 되었고

,

그 이후에는 교향곡

,

모음곡

,

소나타 등의 한 악장

(

주로

3

악장

)

으로 쓰이게 되는 음악 형식으로까지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

 

 

전라도 사투리

거시기

의 사전적 의미는 사람이나 사물의 이름이 얼른 생각나지 않거나 직접 말하기 난처할 때 대신 쓰이는 대명사나 감탄사

,

또는 남성 생식기를 뜻하기도 하며

머시기

는 무엇이란 뜻이 더 첨가되어 있는 단어입니다

.

하지만 사전적인 의미로만 정의내리기엔 이

거시기

머시기

는 다양하게 여러 상황에서 쓰이기 때문에 많이 쓰고 들을 수 있는 전라도 지방의 사람이 아닌 이상 그 의미를 헤아리기 쉽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

 

영화 속에서는 이 정확한 뜻을 알 수 없어

거시기 할 때까지 갑옷을 머시기해불자

~

라는 계백 장군의 말이 그저 단순하게

전쟁이 승리로 끝나거나 우리가 죽기 전까지 갑옷을 벗지 않도록 한다

!

라는 필승 의지를 표명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신라의 진영에서 이해를 못해 쩔쩔매며 시종일관 진지하게 해독을 하려 애쓰는 장면을 연출해내며 큰 웃음을 이끌어내고 있습니다

.

 

영화

황산벌

안에서 전라도 사투리

거시기

란 단어를 전국적으로 유행시키며 영화 속 가장 코믹한 장면으로 우리의 기억에 자리잡게 된

(Scene)

과 배경 음악인 클래식 명곡

보케리니의 미뉴에트

는 또하나의 영화 속 잊혀지지 않는 클래식 명곡일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