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Zoiworld 호기심/Jazz 이야기 [다음 브런치] (完)

브런치 매거진 - 클래식쟁이 쏘냥이의 재즈 이야기 5. Jazz의 기원-아프리카

by zoiworld 2017. 4. 18.
728x90


글은

https://brunch.co.kr/@zoiworld/22

여기서 확인 가능합니다.


클래식쟁이 쏘냥의 재즈의 기원 (On the Origin of Jazz), 재즈의 어원에 이어 오늘은 재즈 속의 영혼이라 표현할 수 있는 아프리카와 노예들의 역사와 그들의 전통 음악에 대해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재즈의 근원은 서부 아프리카 흑인 원주민들이 노예로 아메리카, 특히 현재 미국 루이지애나주 뉴올리언즈 지방으로 끌려온 후에 그들의 민속 음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아프리카에서 아메리카로 팔려간 흑인 노예들의 대부분은 서수단으로 알려진 3개의 흑인 제국인 가나 (Republic of Ghana), 말리 (Republique du Mali), 송가이 제국 (Songhay Empire, 15~16세기) 출신의 원주민들이었습니다.

1600년대 초반 아메리카로 처음 들어온 흑인들은 매매를 당해 농장이나 탄광 등에서 일하거나 백인 집안들의 하인들로 일하였습니다.

 

힘든 일을 함께 하며 견뎌나가야 했던 그들은 서로 힘을 북돋아주거나 합을 맞춰 일을 하기 위해 노래를 부르기 시작했는데, 그 노동요들이 서글프거나 한을 느껴지기에 블루스 (Blues)로 발전하거나 기독교로 개종한 후 서아프리카 전통 음악 스타일을 따른 성가인 흑인 영가 (Spiritual)를 부른 것이 소울 (Soul) 등의 재즈 음악으로 발전하였다고 알려져 있는데요.

 

아프리카, 특히 서수단의 전통 음악들은 우리의 민요와도 비슷한 5음계 (Pentatonic)의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주로 타악기를 이용한 복잡한 혼합 리듬 (Polyrhythm)이나 당김음 (Syncopation)은 지금까지도 재즈 음악 전반의 자유롭고도 복잡한 리듬과 박자의 근원이 되었습니다.

 

보통 아프리카 출신 노예들의 민속 음악 속 리듬과 유럽의 화성이 만나 재즈가 만들어졌다는 설이 지배적이긴 하지만 재즈가 아프리카의 민속 음악의 리듬이란 특성만을 지니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

 

그들이 일을 할 때 부르던 노동요는 흔히 우리 민요 속 노동가처럼 누군가가 선창을 하면 나머지 사람들은 뒤를 이어 합창하는 메기고 받기 형식 (Call & Response)는 재즈에서 굉장히 자유롭게 쓰여지고 있습니다.

 

한 악기나 가수가 테마를 연주하거나 부른 후에 다른 악기나 가수가 그 테마를 받아 답을 하거나 변주하는 형식, 중간에 끼어들거나 돌림 노래 형식으로 음악을 연주하는 재즈 음악에서 두드러지는 자유로운 특색은 이 아프리카 음악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여집니다.

 

또한 타악기를 이용한 강한 베이스 템포로 박자를 잡아주거나 흥을 돋우어주는 것, 즉흥적으로 연주하는 Improvisation, 짧은 주제를 반복하거나 끊임없이 다양하게 변주해주는 아프리카 전통 음악의 특징은 재즈 음악 속에서도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일부에서는 노예들이 끌려온 후 아프리카 음악과는 상관없이 독자적으로 생성된 장르가 재즈라는 주장도 있으나, 1960년대 이후 흑인의 인권 운동을 통해 아프리카 출신의 2세대, 3세대들이 자신들의 뿌리에 대한 자각을 위해 아프리카 전통 음악을 배우면서 재즈에 응용했다는 점에서 아프리카의 전통 음악이 재즈의 큰 축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을 부정할 수 없을 것입니다.

 

현재 아프리카 내에서도 그 전통 음악을 이어나가고 그 음악을 토대로 새로운 작품들을 작곡, 연주하며 발전시켜나가고 있으며, 노예들의 유럽, 아메리카 등의 이주를 통해 전파된 아프리카 전통 음악은 재즈 뿐만 아니라 클래식 음악에도 영향을 주어 그 리듬이나 새로운 음의 진행 등이 접목되고 함께 발전되어 가고 있습니다.

아프리카 음악에서 발전되어 신대륙 아메리카에서 만들어진 재즈 음악은 유럽의 클래식 음악과 아메리카 원주민들의 전통 음악과도 결합이 되며 다양성을 지닌, 그러나 독특성을 잃지 않은 자유를 상징하는 음악 장르가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