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영상과 함께하는 자세한 글은 https://brunch.co.kr/@zoiworld/134 에서 읽으실 수 있습니다.
음의 이름은 2가지로 표기할 수 있습니다. 저번 시간에 알아봤던 ‘도레미파솔라시도’와 알파벳으로 표현하는 ‘CDEFGAB’입니다. 이 때 보통 ‘도레미파솔라시도’라고 표기하는 것을 ‘Solmization (솔미제이션)’, ‘계명 창법’이라 칭하고, ‘CDEFGAB’는 알파벳법이라고 말합니다.
즉 ‘도’ 는 보통 C, ‘레’는 D, ‘미’는 E, ‘파’는 F, ‘솔’은 G, ‘라’는 A, ‘시’는 B로 표기하는 것이죠.
여기서 주의해야 할 것은 나라마다 표기법이 조금씩 다르다는 것입니다. 계명창법도 알파벳법도.
알파벳 법에서 독어권은 거의 동일하게 C, D, E, F, G, A 를 사용하고 독일어식 발음으로 체, 데, 에, 에프, 게, 아..라고 발음합니다. 하지만 ‘시’ 자리는 B가 아닌 ‘H’로 표기하고 ‘하’라고 발음합니다. 내림 가, 즉 시 플랫을 ‘B’라고 표기하고 ‘베’라고 발음하기 때문입니다.
또 이탈리아나 프랑스에서는 계명창법을 더 선호하는데, 이탈리아는 우리와 동일하게 ‘도레미파솔라시도’를 사용하고, 프랑스는 ‘도’도 사용하지만 초창기에 쓰였던 ‘웃트 (Ut)’도 함께 사용하고 있습니다.
반음을 하나씩 올리거나 내리는 ‘올림표’과 ‘내림표’가 붙으면 음이름은 조금 더 복잡해집니다.
보통 반음을 올리는 ‘올림표’의 경우 ‘샵/샾 (#)’, 내림은 ‘플랫 (b)’으로 표기하여 도 샾, 또는 올림 다는 ‘C sharp (씨 샵)’ 이런식으로 영어 표기를 사용합니다.
그러나 독어권에서는 올림의 경우 보통 음 이름에 ‘is’를, 내림의 경우 보통 음 이름에 ‘es’를 붙여 사용합니다.
도 샵은 ‘Cis (치스)’, 레 샵은 ‘Dis (디스)’로 씁니다. 미 샵 ‘Eis’는 원래 독어 발음은 ‘아이스’여야 하지만 라 샵과 구분하기 위하여 ‘에이스’라고 읽습니다. 파 샵 ‘Fis’는 피스, 솔 샵 ‘Gis’는 기스, 라 샵 ‘Ais’는 아이스로, 마지막으로 시 샵 ‘His’는 히스로 읽습니다.
반음을 두번 올리는 ‘겹올림’은 보통 두번을 뜻하는 영어 단어 ‘더블 (Double)’을 사용하여 ‘C Double Sharp (씨 더블 샵)’, ‘D Double Sharp (디 더블 샵)’ 이런식으로 사용합니다.
독어권에서는 is에 is를 하나 더 붙여 ‘cisis (치시스)’, ‘Disis (디시스)’, ‘Eisis (에이시스)’, ‘Fisis (피시스)’.. 이렇게 표기하고 읽습니다.
반음을 내리는 내림표를 사용할 경우 ‘샵’ 자리에 ‘플랫 (Flat)’을 넣으면 됩니다. ‘C flat (씨 플랫)’, ‘D Flat (디 플랫)’ ‘E Flat (이 플랫)’.. 이런 식으로요.
독어에서도 ‘is’ 대신 ‘es’를 집어 넣으면 대부분 됩니다. 도 플랫은 Cis 대신 ‘Ces (체스)’, 레 플랫은 ‘Des (데스)’.. 여기서 유의해야할 두 음은 바로 ‘내림 마’ 음인 미 플랫과 ‘내림 가’음인 라 플랫과 ‘내림 나’음인 시 플랫입니다. ‘E’ 음에 es를 붙여 Ees가 아니라 여기서는 s만 붙여 ‘ES (에스)’라고 사용해야 합니다. 또 라 플랫은 Aes가 아니라 ‘As (아스)’로, 시 플랫은 ‘hes’가 아니라 ‘B’로 쓰고 베라고 읽어야 합니다.
반음을 두번 내리는 ‘겹내림’ 역시 영어권에서는 겹올림과 동일하게 쓰입니다. 샵 자리에 플랫을 넣어 ‘C Double flat (씨 더블 플랫)’, ‘D Double flat (디 더블 플랫)’ 이런 식으로 사용하면 되죠.
그.러.나. 독어에서는 또 조금 달라집니다. 물론 표기는 대부분 똑같이 ‘es’에 ‘es’를 하나 더 붙인 ‘eses’를 붙여 ‘Ceses (체세스)’, ‘Deses (데세스)’.. 이런 식으로 사용합니다.
‘겹내림 마’ 음인 ‘E Double flat (미 더블 플랫/이 더블 플랫)’의 경우에는 미 플랫 ‘Es (에스)’에 es를 하나 더 붙여 ‘Eses (에세스)’라고 읽습니다. ‘겹 내림 가’ 음인 ‘A Double flat (에이 더블 플랫/라 더블 플랫)’의 경우에는 라 플랫 ‘As (아스)’에 es를 하나 더 붙여 ‘Ases (아세스)’라고 읽습니다.
그리고 많이들 ‘겹내림 나’ 음인 ‘B Double flat (비 더블 플랫/시 더블 플랫)’을 내림 나인 ‘B’에 es를 더하여 ‘bes’라고 착각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더블 플랫의 경우는 원음인 ‘H’에 eses를 붙여 ‘Heses (헤세스)’라고 쓰는 것이 맞습니다.
처음 음이름을 익힐 때, 특히 독어권에서는 매우 헷갈리는 경우가 많지만, 계속 쓰다보면 더블, 플랫, 이런 음들을 계속 이야기 하는 것보다 데스, 체스, 히스, 기스.. 이런 식으로 바로 단어를 짧게 부를 수 있는 것이 실용적이기 때문에 현재도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렇게 각 나라마다 같은듯 조금씩 달라지는 음이름들, 다음 시간에는 음계에 따른 조성이 어떤 식으로 구성되는지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쏘냥의 클래식 칼럼 > 브런치 클래식 매거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브런치 칼럼 #57. 영화 '불멸의 연인'- 운명 교향곡 (0) | 2020.05.22 |
---|---|
알쓸신클-43. 음악 용어 - 임시표 (0) | 2020.05.14 |
알쓸신클-41. 음악 용어 - 음이름과 계이름 (0) | 2020.04.17 |
알쓸신클-40.연주홀 이야기- 예술의 전당 (0) | 2020.04.14 |
브런치 칼럼 #56. 영화 '불멸의 연인'- 월광 소나타 (0) | 2020.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