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쏘냥의 클래식 칼럼/[브런치스토리] 클래식 매거진

알쓸신클-27.악보에 자주 등장하는 암호들 <1>

by zoiworld 2018. 11. 11.
728x90


사진, 영상과 함께하는 자세한 글은 https://brunch.co.kr/@zoiworld/93 에서 읽으실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음악 용어들을 쉽게 배워보는 시간, 셈여림표에 이어 악보에 자주 등장하는 용어, 약자들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는데요.

어느 나라 언어인지, 약자인지 몰라서 외면하기도 했던 암호(?!)..

그 중 일반적인 이탈리아어 용어들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1. Assai [아싸이]

아싸~! 아니구요.^^;; 아싸이란 단어는 매우, 충분하게란 뜻을 지니고 있는데요.

보통 빠르기를 나타내는 용어 뒤에 사용되어 강조하는 뜻으로 지니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Allegro Assai (알레그로 아싸이)는 매우 빠르게, Lento Assai (렌토 아싸이)는 매우 느리게 란 뜻이 되는 것입니다. 셈여림표에서 immo가 붙어 포르테는 포르티시모로, 피아노는 피아니시모로 매우 크게, 매우 작게가 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로 보면 된답니다ㅎㅎ

[빠르기를 나타내는 용어들은 알쓸신클 29번째 시간에 구체적으로 알아볼 예정입니다.]

 

2. Con []

콘은 ~을 가지고, ~의 느낌을 지니고란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역시나 빠르기 등에 붙어 Con Brio (콘 브리오)는 생생하게, 활기차게란 의미로, Con moto (콘모토)움직임을 가지고 약간 빠르게, 생기 있게란 의미로, Con Fuoco (콘 푸오코)열정을 가지고란 의미로 쓰입니다.

Con Sordino (콘 소르디노)약음기 (고무, 쇠 등으로 이뤄진 장치로 현악기나 관악기에 끼워 음을 작고 부드럽게 내도록 하는 물체)를 끼우고란 뜻을 지니고 있습니다.

[반대되는 단어는 Senza Sordino (센짜 소르디노)로 약음기를 빼라는 뜻입니다.]

 

3. Ma non tropo [마 논 트로포]

마 논 트로포는 지나치지 않게, 과하지 않게란 뜻을 지니고 있습니다.

(Ma)그러나, but의 뜻을 지니고 있습니다.

트로포 (Trioppo) 자체는 대단히, 매우 란 뜻을 지니고 있으며 부정형인 non이 합쳐져서 Ma non troppo는 그러나 너무 과하지 않도록이란 뜻을 지니게 되는 것입니다.

보통 빠르기 뒤에 쓰여, Allegro ma non troppo 이런 식으로 쓰여 빠르게, 하지만 너무 빠르지는 않게란 뜻으로 쓰여집니다.

 

4. Meno [메노]

메노는 조금 덜하게, ~보다 적게란 뜻을 지니고 있습니다. 뒤에 나오는 piu의 반대어이기도 합니다.

Meno mosso (메노 모쏘)는 앞부분의 속도보다는 느리게, 더욱 느리게란 뜻을 지니고 있으며, 매우 흔하게 쓰이는 단어입니다.

빠르기를 나타내는 단어 앞에 쓰여 그 단어의 속도보다는 느리게란 뜻으로 쓰이고 있는데요.

Meno Allegro (메노 알레그로)는 알레그로보다는 조금 느리게란 뜻입니다.

 

5. Molto [몰토]

몰토는 매우, 몹시란 뜻을 지니고 있으며, 빠르기를 나타내는 단어 앞에 쓰여 강조하는 의미로 쓰이며 Assai와 비슷한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Molto Adagio (몰토 아다지오)는 매우 느리게란 뜻으로 쓰이며, Molto Crescendo (몰토 크레센도)는 매우 명확한 크레센도를이란 뜻으로 쓰입니다.

 

6. Piu [피우]

피우는 조금 더, 한층, 보다 많이란 뜻으로 쓰여 4번 챕터의 메노의 반대 의미로 쓰여집니다.

Piu mosso (피우 모쏘)는 보다 빠르게, Piu allegro (피우 알레그로)는 더욱 빠르게, Piu Adagio (피우 아다지오)는 더 느리게란 뜻으로 쓰입니다.

 

7. Poco [포코]

포코는 조금 이란 뜻으로 보통 변화를 지시하는 단어 앞에 쓰여 점차적인 변화를 지시할 때쓰입니다. Poco Rallentando (포코 랄렌탄도)는 조금씩 느려지란 의미로 쓰입니다.

 

Poco a poco (포코 아 포코)란 용어는 특히 많이 쓰이는데요.

poco a poco는 조금씩 점점, 점차적으로란 용어로 쓰입니다.=

Poco a poco crescendo (포코 아 포코 크레센도)는 조금씩 점점 크레센도를 하라는 뜻입니다.

 

다음 시간에는 악보에 자주 쓰이는 또다른 용어들 중 오늘 다루지 않은 나머지 용어들에 대해 다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